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건강 꿀팁

화장품 구매 전 성분표 확인방법, 그 속의 성분들에 대해 알아봅시다!

by 꿀빠는벌 2024. 1. 20.
반응형

최근 식약처에서 국내 염색약이나 염색샴푸 등에서 위해성 염모제 성분 8개를 추가 확인하여 추후 사용이 금지될 성분이 총 14개로 늘어날 것이라고 발표했습니다. 이 중 하나인 니트로-p-페닐렌디아민은 생소한 이름이지만, 화장품 뒤쪽에 적혀있는 화장품 성분표로 확인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하지만 많은 소비자들이 화장품의 성분표를 확인하면서도 너무 많은 성분이 있어 일일이 확인하기 어려워하는 상황입니다. 이에 저희는 이번 포스팅에서 모든 남녀가 사용하는 클렌징폼 화장품 성분 몇 가지를 소개하고자 합니다. 이 포스팅을 저장해 두셨다가 클렌징폼 구매하기 직전에 참고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클렌징폼의 성분표

아침에 세안할 때와 외출 후 집에 들어와 메이크업을 지울 때 기본적으로 사용하는 클렌징폼에는 약산성, 중성, 알칼리성 총 3가지 종류가 있습니다. 각각의 종류에는 다양한 성분들이 포함되어 있으며, 이 성분들이 클렌징폼의 효과를 결정짓습니다.
 

약산성 클렌징폼의 주요 성분

약산성 클렌징폼에는 주로 ‘소듐코코일이세티오네이트’, ‘코코-베타인’, ‘소듐코코일글루타메이트’ 등의 성분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들 성분은 각각 야자유지방산(코코넛오일)과 ‘이세치온산’을 결합해서 만들어낸 계면활성제, 코코넛을 원료로 한 계면활성제, 그리고 천연 계면활성제로 알려진 성분입니다.
 

 

중성 클렌징폼의 주요 성분

중성 클렌징폼에는 ‘코카미도프로필베타인’, ‘소듐라우릴설페이트’, ‘소듐라우레스설페이트’ 등의 성분이 주로 쓰입니다. 이들은 각각 코코넛오일을 화학 처리해서 만든 합성 계면활성제, 매우 강력한 세정력을 가진 계면활성제, 그리고 소듐라우릴설페이트 성분에 비해 자극이 덜한 계면활성제입니다.
 

알칼리성 클렌징폼의 주요 성분

알칼리성 클렌징폼에는 ‘스테아릭애씨드’, ‘팔미틱애씨드’, ‘라우릭애씨드’ 등이 주로 사용됩니다. 이들은 각각 피부 안전성이 우수한 천연 지방산, 가장 흔한 포화 지방산 성분, 그리고 코코넛오일에서 얻을 수 있는 고급 포화 지방산입니다.
 

 

화장품 성분표를 확인하는 것의 중요성

화장품 성분표를 확인하면서 다소 낯설고 어려운 명칭의 성분들을 기억해두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이는 각각의 성분이 사람마다 알레르기 반응을 보이거나 부작용을 겪기도 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화장품 성분표를 꼼꼼히 확인하고, 알레르기 반응을 보이는 성분이 있다면 그 성분을 피해서 화장품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렇게 화장품 성분표를 잘 활용하시면, 부작용 없이 건강한 피부를 지켜 줄 수 있을 것입니다! 본 포스팅이 여러분들의 건강한 피부 관리에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