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근 한반도에서 지진이 잇따라 발생하며, 우리 모두에게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한반도도 더 이상 지진 안전지대가 아니라는 사실을 인지하고, 지진 발생 시 어떻게 대처해야 하는지를 알아야 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국내 지진 발생 현황과 지진 발생 시 행동 요령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잇따른 국내 지진
최근 동해에서는 사흘 동안 약 20회가량의 지진이 발생하였습니다. 이는 상당히 이례적인 경우로, 충북 옥천에서도 규모 3.1의 지진이 발생하였습니다. 이는 올해 발생한 지진 중 3번째로 큰 규모였습니다. 이러한 지진 발생에 따라 정부는 지진 위기 경보를 '관심' 단계로 올렸습니다.
국내 지진 증가한 이유
국내의 지진 발생 증가는 2011년 3월 11일 발생한 동일본 대지진과 관련이 깊습니다. 이 지진은 일본 사상 최대 규모인 9.0의 지진으로, 이후 한반도에서 발생한 지진의 진원 깊이와 위치에 변화를 가져왔습니다.
강화도에서 발생한 지진은 이러한 변화의 증거입니다. 기존에 지진 안전지대로 여겨졌던 수도권에서 발생하였으며, 진원이 깊었습니다. 이러한 변화는 동일본 대지진이 한반도에 미친 영향과 관련이 있습니다.
동일본 대지진의 영향
동일본 대지진으로 인해 한반도가 일본 열도 방향으로 끌려가게 되었고, 이로 인해 지진 발생이 늘어났습니다. 서해는 2cm, 동해는 5cm 정도 일본에 가까워졌습니다. 이로 인해 지진 안전지대라고 생각했던 곳에서도 지진이 발생하였고, 진원도 깊어졌습니다.
지진이 발생할 때의 행동 요령
지진은 언제 어디서 발생할지 모르기 때문에, 우리는 언제나 지진에 대비해야 합니다. 지진이 발생하면 탁자 아래로 들어가거나, 피할 곳이 없다면 방석이나 가방 등으로 머리를 보호해야 합니다. 또한, 지진으로 인해 문틀과 창문틀이 뒤틀려 문이 열리지 않을 수 있으므로, 미리 문을 열어두어 출구를 확보해야 합니다.
밖으로 대피할 경우
밖으로 대피할 경우에는 승강기를 이용하지 말고 계단을 이용해야 합니다. 공원이나 운동장과 같이 낙하물이 없는 넓은 공간으로 이동해야 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국내 지진 발생 현황과 지진 발생 시의 대비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이를 통해 우리 모두가 지진에 대비할 수 있기를 바랍니다.
'생활정보 > 살림 꿀팁'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당신이 알지 못했던 스펀지의 생활 속 7가지 놀라운 활용법 (0) | 2023.12.17 |
---|---|
안전한 전기매트 사용방법! 화재 사고 없는 따뜻한 겨울 보내기 (0) | 2023.12.16 |
자동차 운전, 이렇게 하면 기름값 줄인다! 기름 아끼는 꿀팁 3가지! (0) | 2023.12.15 |
집에서 기르기 쉬운 다육식물 5가지, 실내공기정화용 식물로 추천! (0) | 2023.12.15 |
결혼 준비 체크리스트! 1년전, 6개월전, 3개월전 예신, 예랑이 알아두어야 할 준비 항목들 (0) | 2023.12.14 |